분류 전체보기112 [Git] git log 읽기 & git diff 노란글씨 commit e0616.... > commit hash or git hash. commit을 구분해 준다. (HEAD -> master) > 이 표시가 붙어 있는 버전이 최신 버전 Author, Date > 항목 작성자와 작성 시각 $ git diff 명령어는 working tree에서 파일을 수정했을 때, repository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과의 차이점을 비교해 줌. 2023. 1. 2. [Git] Stage & Commit 작업의 영역을 3분할한다. 1. 작업 트리(working tree) : 우리가 눈으로 보고 작업하는 영역 2. 스테이지(staging area) : 버전으로 만들 파일이 대기하는 곳. 작업트리의 작업물 중 버전으로 만들 작업물을 staging area로 넘겨 준다. 3. 저장소(repository) : staging area에서 대기하고 있는 파일들을 버전으로 만들어 저장하는 장소. staging area, repository 두 영역을 .git 디렉토리에서 관장한다. working tree에서 작업한 것을 add 하면 staging area로, staging area에 대기 중인 파일을 commit 하면 version이 된다. git status 명령어를 입력했을 때, 아직 한 번도 버전 관리하지 않은.. 2023. 1. 2. [Git] Git init Git init : 깃을 사용할 수 있도록 디렉토리를 초기화하는 명령어. 위와 같은 창이 뜬다면 해당 디렉터리에서 git을 사용 가능하다. 숨김 폴더로 .git이라는 디렉터리가 생기는데, 이 디렉터리가 앞으로 버전을 저장할 repository이다. 2023. 1. 2. [Git] 기본 Linux 명령어 pwd > 현 위치 경로 ls > 현 디렉토리의 파일, 디렉토리 확인 * ls 명령 옵션 -a 숨김파일 + 디렉터리 함께 표시 -l 상세 정보 표기 -r 정렬 순서 거꾸로 -t 작성 시간 내림차순 표시 cd/cd .. > pass 단, cd~ > 홈 디렉터리로 이동 인 것만 알아둘 것 ~ 현재 접속 중인 사용자의 홈 디렉터리. 홈 디렉터리 : C/Users/사용자 아이디 ./ 현재 사용자가 작업 중인 디렉터리 ../ 현재 디렉터리의 상위 디렉터리 mkdir > 디렉토리 만들기 rm > 디렉토리 삭제 * rm -r > 디렉토리 내의 하위 디렉토리와 파일까지 삭제 2023. 1. 2. 이전 1 ··· 19 20 21 22 23 24 25 ··· 28 다음